명소탐방

[스크랩] 정선 아라리촌

숙암(宿岩) 2014. 4. 30. 22:33

 

 

숙암 최원규님, 정대감 정운찬님, 푸름나무

 

▣ 위 치 : 정선군 정선읍 애산리 560번지 일원
▣ 면 적 : 34,720㎡

정선읍 애산리 일원 10,503평 부지에 정선의 옛 주거문화를 재현한 아라리촌이 있습니다. 전통와가와 굴피집, 너와집, 저릅집, 돌집, 귀틀집의 전통가옥 6동과 주막, 토속매점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지금은 보기 드문 물레방아와 통방아, 연자방아, 서낭당, 농기구공방, 방앗간 등의 시설도 볼 수 있습니다.

 

전통와가
양반가의 전통 가옥으로 안채와 사랑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안주인의 일상거쳐이자 가사의 중심이었던 안채는 안방, 건넌방, 작은방과 대청, 마루방(제사실), 고방, 부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깥주인의 학문탐구와 손님접대의 공간이었던 사랑채는 두개의 사랑방과 마루방, 문간방, 부엌, 그리고 대문간.외양간 등으로 구성 되었습니다.

굴피집
안방, 사랑방, 도장방과 대청, 정지, 외양간으로 구성된 주거형태이며, 원시형 산간지방 가옥으로 정선, 강릉, 양양, 평창 지방의 마을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굴피집은 참나무(상수리나무)껍질인 굴피로 지붕을 덮은 집으로서 보온이 잘되고 습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겨울에는 매우 춥고 여름에는 비가 많이 오는 기후에 안성 맞춤입니다.

너와집
2백년 이상 자란 소나무토막을 쪼갠 널판으로 지붕을 이은 정선지방의 전통민가로서 안방, 건넌방, 사랑방과 도장방, 대청, 부엌, 봉당, 외양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내부에는 정선지방의 특징적 용구인“화티”가 있는데, 이는 부뚜막 귀퉁이에 진흙을 이겨 쌓은 것으로 두 개의 구멍 중 위쪽에는 불을 피워 조명을 대신하거나 음식을 끊이는데 쓰고, 아래쪽은 불씨보관용도로 쓰였습니다.

저릅집
정선지방의 전통 민가 중 하나로 안방과 윗방, 도장방, 정지, 외양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릅집은 대마(大魔)의 껍질을 벗기고 난 줄기를 짚 대신 이엉으로 이은집을 일컬으며 겨릅집이라고도 합니다. 주로 정선과 삼척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속이 빈 저릅 대궁이 단열재로서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합니다.

돌집
정선지방의 독특한 가옥 형태로 안방, 윗방, 사랑방, 도장방, 그리고 정지와 외양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돌집은 얇은 판석(板石)을 두께2㎝ 정도의 돌기와로 지붕을 덮어 올린 집으로, 주로 정선지방 산 기슭에 매장된 청석맥을 파내어 이용 하였습니다.

귀틀집
목재가 풍부한 산간지대의 주민들이 짓고 살던 원시주거의 한 가지로 안방과 윗방, 정지, 헛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껍질을 벗긴 통나무를 우물정(井)자 모양으로 쌓아 올려 벽체를 삼으며, 나무 틈새는 진흙으로 메워 짓는다. 많은 적설량에도 견딜 수 있고 온도유지가 용이할 뿐 아니라 간편하게 지을 수 있어 산간지대의 화전민들이 오래 전부터 이용하여 왔습니다.

농기구공방
농기구공방은 농업에 필요한 각종 기구(연장)를 제조, 수리하는 공간입니다. 농기구는 농사를 짓는 과정에 따라 갈기, 삶기, 씨뿌리기, 일구기, 김매기, 거름주기,물대기, 거두기, 나르기, 알곡털기, 고르기, 갈무리, 알곡찧기, 자리짜기, 가축기르기 등에 쓰이는 연장으로 분류됩니다

서낭당
서낭당은 마을 사람들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던 곳입니다. 가정의 안녕이나 자식들의 무운장수, 입신출세를 기원하는 장소로써 마을신앙의 모태가 되는 민간무속의 중심지 였습니다. 일반적인 서낭당의 위치는 마을이 시작되는 진입로 가장자리나 이웃마을과 연결되는 고갯마루 주변이며, 장승이나 벅수와 함께 세워져 있습니다.

초정
볏집으로 지은 정자(亭子)를 말합니다.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마루바닥을 지면에서 한층 높게 지었으며 벽이 없고, 기둥과 지붕만으로 이루어 졌다. 일반적으로 풍류를 즐기거나 휴식을 취 할 수 있는 장소로서 산수 좋은 높은 곳에 세웠습니다.


통방아
통방아는 ‘물방아’ 또는 ‘벼락방아’라고도 하며, 확(곡식을 넣는 돌 통), 공이(찧는 틀), 수대등으로 구성된다. 3-5㎝ 정도의 커다란 통나무를 이용하여 앞쪽에는 공이를 박고, 뒤쪽은 물이 담 길 수 있도록 구이통을 팠습니다. 귀대를 통해 구이통 속으로 흘러 들어온 물에 의해 공이가 올라가고 내려가면서 확에 있는 곡식을 찧게 됩니다.

연자방아
발동기가 없던 옛날, 한꺼번에 많은 곡식을 찧거나 밀을 빻을 때 우마(牛馬)의 힘을 이용한 방아입니다. 둥글고 판판한 돌판 위에 그보다 작고 둥근 돌을 옆으로 세워 얹어 아래 위가 잘 맞닿도록 하고 우마(牛馬)가 끌고 돌립니다. 마을마다 하나씩 있어 공동으로 사용하였으며 이곳을 연자방앗간 또는 연자맷간이라 하였습니다.

물레방아
물레방아는 큰 나무 바퀴와 굴대에 공이를 장치하여, 쏟아지는 물이 나무바퀴를 돌리면 굴대에 꿴 넓적한 나무가 방아채의 한 끝을 눌러 번쩍 들어 올렸다가 떨어뜨리면서 공이로 확에 담긴 곡식을 찧도록 되어 있습니다. 방아채와 공이의 동작이 자동으로 되기 때문에 사람이 없어도 찧을 수 있으며, 공이가 양쪽으로 두 개가 물려 있어 엇갈려 찧을 수 있는 것도 있습니다

 

고인돌
고인돌이란 거대한 돌(바위)을 이용하여 축조한 거석기념물의 하나로 지상이나 지하에 시신을 묻는 석실을 만들고 위에 큰돌로 덮은 선사시대의 무덤입니다. 고인돌은 거석문화(巨石文化)의 일종으로 공동체 생활의 시작, 지배계급의 출현 등 당시의 사회적 배경을 알아 볼 수 있습니다.

장승
장승의 기능은 첫째 지역간의 경계표 구실, 둘째 이정표 구실, 셋째 마을의 수호신 역할이었습니다. 길가나 마을 경계에 있는 장승에는 그것을 기점으로 한 사방의 주요 고을 및 거리를 표시하였습니다. 또한, 수호신으로 세운 장승은 이정표시나 ‘천하대장군’류의 표시가 없으며, 대신 마을의 신앙 대상으로서 주로 액병(厄病)을 빌었습니다.

 

 

정선의 아라리촌을 통해 우리나라의 전통 주거문화를 전세계에 알리는 아라리촌 가이드님~*

 

 

 

 

 

 

 

 

 

 

 

정대감 정운찬님 대감마님

 

 

 

서울 여류주부바둑 회원 황미숙,노정숙, 최풍자, 이영옥, 고암 김태준님 

 

 

 

정선의 숲 해설가이신 고암 김태준님의 가이드로 민둥산에 오릅니다.

 

강원 정선읍 애산리 일원 34,722㎡(10,503평) 부지에 정선의 옛 주거문화를 재현한 아라리촌이 있다.
전통와가와 굴피집, 너와집, 저릅집, 돌집, 귀틀집의 전통가옥 6동과 주막, 토속매점 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지금은 보기드문 물레방아와 통방아, 연자방아, 서낭당, 농기구공방, 방앗간 등의 시설도 볼 수 있다.
관람내내 구성진 정선 아리랑 노래 가락이 정겹고  저릅집, 귀틀집, 굴피집에서는 민박체험이 가능하며,
정선 5일 장터에서 섭다리를 건너 아라리촌을 방문하는 것도 이색 체험이다^^*☆ 정선가면 꼭~ 가보세요.

 

 

 

출처 : 무위수석사랑
글쓴이 : 푸름나무 원글보기
메모 :

 

'명소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심대(2014.5.11)  (0) 2014.05.13
정선 "구미정"  (0) 2014.05.08
[스크랩] 도담삼봉의 전설  (0) 2014.04.30
[스크랩] 검룡소를 찾아가다.  (0) 2014.04.30
[스크랩] 아름다운 학교  (0) 2014.04.29